삼성전자, 2018년 하반기 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과제 선정

연구비 총 553억원이 지원,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미래기술 분야로 지원 확대할 방침

김수정 기자 | 기사입력 2018/10/04 [13:10]

삼성전자, 2018년 하반기 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과제 선정

연구비 총 553억원이 지원,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미래기술 분야로 지원 확대할 방침

김수정 기자 | 입력 : 2018/10/04 [13:10]

삼성전자가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미래기술육성사업의 2018년 하반기 지원과제 38개가 선정됐다.

 

이번에 선정된 과제에는 연구비 총 553억원이 지원된다.

 

기초과학 분야에서는 ' 리드버그 양자 시뮬레이터의 얽힘 제어 연구 '(KAIST 안재욱 교수) 등 15개 과제가 선정됐다.

 

소재기술 분야에서는 저전력 고집적 반도체에 활용할 수 있는 '스핀 CMOS를 이용한 스마트 로직소자 개발'(KAIST 박병국 교수) 등 12개 과제가 선정됐다.

 

ICT(정보통신기술) 분야에서는 자율주행, 로봇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딥러닝 영상인식 기술인 '가상현실을 위한 물리적 및 지각/감성적 동작 효과의 자동 저작'(포스텍 최승문 교수) 등 11개 과제가 선정됐다.

 

이번에 선정된 과제 중, 기초과학에서 KAIST 김대수 교수 외 2개 과제, 소재기술에서 한양대 김종호 교수 외 1개 과제 등 모두 5개 과제는 후속 지원과제로 선정됐다.

 

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이미 지원이 완료된 과제 중에서 학술적으로나 산업적으로 큰 파급력이 기대되는 경우 후속지원 과제로 선정해 추가로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.

 

삼성전자는 미래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초과학이 튼튼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지난 2013년 8월부터 10년간 기술발전에 1조5,000억원을 투자하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. △기초과학 △소재기술 △ICT 3개 연구분야에서 매년 3차례(상∙하반기 자유공모, 년1회 지정테마) 지원하며 지금까지 모두 466개 과제에 총 5,94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.

 

삼성전자는 앞으로 AI, 5G, IoT, 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미래기술 분야로도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.

 

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2019년 상반기 지원과제는 소재기술∙ICT 분야는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(samsungftf.com), 기초과학 분야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(samsungstf.or.kr) 을 통해 12월 14일까지 접수한다.

 

[참고1]

 

▲     © 러브삼성

 

 

▲     © 러브삼성

 

<기초분야 선정과제 리스트> 1. 과제명: 핵-세포질 간 물질 이동의 원리 규명 및 인공제어 체제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고준석(서울대) / 2. 과제명: 오브젝트 탐닉 및 사냥 행동의 신경학적 메커니즘 규명 ※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대수(KAIST) / 3. 과제명: 고차원 미분동형사상군의 강직성에 관한 연구 ※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상현(서울대) / 4. 과제명: 초거대 블랙홀의 성장과정에 대한 다중 스케일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지훈 (서울대) / 5. 과제명: 특정 발달 시기에 한정된 신경 조직 간 상호작용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진우(KAIST) / 6. 과제명: 비유클리드 에이터 분석을 위한 구조화 비모수모형의 추정에 관한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박병욱(서울대) / 7. 과제명: 다차원 실시간 액체 전자현미경을 통한 ¨재료 유전학¨, 연구책임자(소속): 박정원(서울대) / 8. 과제명: 시스템 필수 아미노산 센서 규명, 연구책임자(소속): 서성배(KAIST) / 9. 과제명: 리드버그 양자 시뮬레이터의 얽힘 제어 연구 ※, 연구책임자(소속): 안재욱(KAIST) / 10. 과제명: 나노유체 cryo-sampling을 통한 생체분자의 μ s 스케일 구조동역학, 연구책임자(소속): 이원희(KAIST) / 11. 과제명: 위상 플랫밴드 생성 및 제어를 위한 이차원 초격자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정재일(서울시립대) / 12. 과제명: 복잡한 유체의 위상수학적 데이터 분석과 혈관계 질환 진단에의 응용, 연구책임자(소속): 정재훈(아주대) / 13. 과제명: 쿠들라 프로그램으로의 새로운 접근방법, 연구책임자(소속): 조성문(포스텍) / 14. 과제명: 금속 계면의 쟐로신스키-모리야 상호작용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최석봉(서울대) / 15. 과제명: '깨달음' 의 신경학적 기전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최석우(서울대) / ※: 후속지원 과제

 

<소재분야 선정과제 리스트> 1. 과제명: 퀴노이드 구조 기반의 고성능 유기 반도체 소재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동유(GIST) / 2. 과제명: 환자간 돌연변이 차이를 극복하는 범용 치료용 항암백신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용성(아주대) / 3. 과제명: 영구적 자가 수분 흐름 기술 기반 웨어러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일두(KAIST) / 4. 과제명: 2차원 반도체의 비포화 양자효율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정용(성균관대) / 5. 과제명: 병원균 검출용 발광무기 인공항체 ※, 연구책임자(소속): 김종호(한양대) / 6. 과제명: 단백질/RNA 전달을 위한 고효율 다기능성 나노반응체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박노경(명지대) / 7. 과제명: 스핀 CMOS를 이용한 스마트 로직소자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박병국(KAIST) / 8. 과제명: 리셋어블 리퀴드 메탈 하모닉 드라이브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박은수(서울대) / 9. 과제명: 유기 전해질에서의 산소 환원 반응 향상을 위한 항산화효소 생체모방 화학촉매, 연구책임자(소속): 송현곤(UNIST) / 10. 과제명: 모듈화 효소의 선택적 자기조립을 통한 인공 Metabolon 시스템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윤여준(이화여대) / 11. 과제명: 손상반응성 비암호화 RNA 기반 신경재생촉진소재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조용철(고려대) / 12. 과제명: 초고속 광 스타크 토포트로닉 스핀-밸리 큐빗 ※, 연구책임자(소속): 최현용(연세대) / ※: 후속지원 과제

 

<ICT 지원과제 리스트> 1. 과제명: 신경망 하드웨어 가속기를 위한 데이터 흐름 시뮬레이션, 최적화 및 구현, 연구책임자(소속): 박성정(건국대) / 2. 과제명: DNA 저장매체에 적합한 오류제어 부호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박호성(전남대) / 3. 과제명: 극한 수중 환경에서 시각 정보 복원 기술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심재영(UNIST) / 4. 과제명: IoT 및 5G용 광대역 디지털 주파수 생성기의 설계 자동화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심재윤(포스텍) / 5. 과제명: SaS: SSD의 SQL 엔진화, 연구책임자(소속): 이상원(성균관대) / 6. 과제명: 차세대 세포 내 물질 전달 미세유체 플랫폼 개발을 통한 세포공학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정아람(고려대) / 7. 과제명: 칼라필터가 필요없는 초고감도/초저잡음/초소형 차세대 CMOS 영상 센서 연구, 연구책임자(소속): 정일석(UNIST) / 8. 과제명: 범용 암세포 시뮬레이터의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조광현(KAIST) / 9. 과제명: 가상현실을 위한 물리적 및 지각/감성적 동작 효과의 자동 저작, 연구책임자(소속): 최승문(포스텍) / 10. 과제명: 상온에서 동작하는 무선통신용 집적형 THz 레이저 칩, 연구책임자(소속): 한해욱(포스텍) / 11. 과제명: 실시간 초해상도 복원 작업에 적용 가능한 저전력 신경망 단일 칩 기술 개발, 연구책임자(소속): 함범섭(연세대)

 

[참고2]

<주요 선정과제 세부내용>

 

[기초과학 – 리드버그 양자 시뮬레이터의 얽힘 제어 연구]

중성원자들을 3차원 구조로 배열하여 100 큐빗 (양자비트) 수준의 양자 시뮬레이터를 구현하고 큐빗 간 상호관계 제어를 하여 새로운 방식의 양자컴퓨팅 실현을 목표로 하는 연구임. 이 연구는 2013년에 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지난 5년 동안 연구를 수행하였으며, 이번에 그 동안의 성공적인 연구성과와 후속연구에 대한 중요성을 인정받아 5년 후속지원을 받아 장기적으로 꾸준히 연구를 지속할 수 있게 되었음.

대표 연구자 : 안재욱 교수 (KAIST)

 

[소재기술 – 스핀 CMOS를 이용한 스마트 로직소자 개발]

연산과 저장을 하나로 합친 프로세스 메모리 소자를 개발하는 과제로, 산소의 이동을 제어하여 스핀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차별화된 기술을 연구하여 저전력 구현이 가능하고 소자당 면적을 줄여 반도체 고집적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

대표 연구자 : 박병국 교수 (KAIST)

 

[ICT 융합 – 가상현실을 위한 물리적 및 지각/감성적 동작 효과의 자동 저작]

야간, 안개, 화재, 저해상도, 모션블러 등 극한 환경에서 취득한 열화 영상에 대해서도 시각적 인식이 가능한 딥러닝 영상 인식 모델을 개발하여, 영상인식 분야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자율주행, 로봇, CCTV 등 다양한 응용처에 활용이 가능하여 큰 산업적 파급력이 기대됨

대표 연구자 : 최승문 교수 (포스텍)

 

▲ 안재욱 교수(KAIST), 박병국 교수(KAIST), 최승문 교수(포스텍)    

 
삼성과 미래 많이 본 기사